이동평균선 지표의 효과적인 이용방법
트렌드 추종의 대표적인 기법으로 알려진 이동평균선(Moving Average)은 차트 분석에서 많이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하지만 막상 사용해보면 '어떤 걸 보는 거지?' 라는 의문이 들기 쉽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동평균선 지표에 대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방법과 함께, 실전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동평균선이란?
이동평균선은 특정 기간 동안의 주가를 모아서 평균한 값으로, 주가가 짧은 기간 동안 변동이 심하더라도 일정 기간의 평균을 관찰하여 급격한 흐름의 변화를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5일 이동평균선은 5일간의 주가를 더한 후 5로 나눈 값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이를 그래프로 표현한 것을 선으로 나타낸 것이 이동평균선입니다.
이동평균선의 종류
이동평균선에는 각각 5일, 20일, 60일, 112일, 224일, 448일, 896일 등의 기간으로 구한 단기 이동평균선(SMA)과 장기 이동평균선(LMA)등이 있습니다.
세부 투자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대체로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보다 주가의 변화에 신속하게 반응하여 투자전략에 활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투자전략
이동평균선을 활용해 투자할 때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이동평균선의 크로스오버(Crossover)'입니다. 크로스오버란 단기 이동평균선과 장기 이동평균선이 교차하는 지점을 말합니다.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상향돌파하면 상승추세로 이동할 확률이 높아지고, 반대로 하향돌파하면 하락추세로 변환될 확률이 높아집니다.
이동평균선 투자전략의 한계점
이동평균선이 투자전략으로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간단하게 시각적으로 주가 추세를 파악할 수 있는 점과, 알고리즘이 복잡하지 않아 수식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코인시장에서는 개별 주식에 대한 이벤트나 뉴스가 있을 경우 주가가 이동평균선을 관통해서 움직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에는 단순히 이동평균선만으로는 제대로 된 투자전략을 구성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결론
이동평균선은 투자전략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이동평균선만을 가지고 완벽한 투자결과를 얻을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개별 주식의 기본적인 분석과 함께 이동평균선을 투자전략의 일부로 활용하면 높은 성공률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코인 트레이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스크네트워크 코인 전망 (0) | 2023.07.02 |
---|---|
코인트레이딩에 있어서 리스크관리 (0) | 2023.06.29 |
코인거래에 있어서 눌림 지점을 찾는 방법 (0) | 2023.06.27 |
코인 상승장에서 현명하게 눌림에 진입하는 방법 (0) | 2023.06.27 |
RSI 다이버전스의 기술적 분석 방법 (0) | 2023.06.27 |